
Innozinc는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여 장시간 자외선, 화학물질 등의 외부 충격과 노출 상황에서도 부식에 강합니다. 또한 얇은 도막으로 나사산이 살아있어 체결성이 우수하여 클램프, 브라켓 적용이 적합합니다.
기존 도금의 문제점

전기아연도금
1) 내식성 : 도금층이 얇아 내식성능이 낮음, 6가크롬 규제로 내식성능 문제 발생
2) 내구성 : 충격이나 마모에 약함
3) 환경성 : 6가크롬 사용으로 지하수나 강으로 유입 시 환경오염에 문제 발생
4) 안전성 : 6가크롬 사용으로 인체에 유해함

용융아연도금
1) 내식성 : 보관 및 이동 과정에서 백화 현상 발생
2) 에너지 사용량 : 365일 450℃ 이상의 고온 공정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많음
3) 환경성 : 다량의 열에너지 사용으로 탄소배출량이 많음
4) 아연사용량 : 두꺼운 도금두께로 아연사용량이 많으며, 도금 단가가 비쌈
5) 작업환경 : 수동방식으로 고온욕조 주변의 작업자 위험성이 높음
고온에서 아연이 용융하면서 다량의 흄가스 발생
도금 표면이 매끄럽고 균일하지 않아 그라인딩 등 후처리 작업공정이 필요함
기존도금은 위와같이 내식성, 환경성, 안전성 등의 문제가 발생됩니다.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고내식성능의 환경친화적 아연도금입니다.
세라믹아연도금의 친환경성

아연도금별 내식성능 비교


전기아연도금 + 6가크롬
1) 염수분무 시작이후 점차적으로 6가크롬 피막이 희생되면서 노랑 → 실버 색상으로 변해감
2) 염수분무 480시간에 볼트 적청 발생하였으며, 클램프 흑청 및 백청 발생
3) 염수분무 720시간 경과 후 클램프 전체에 흑청과 백청 발생, 볼트의 헤드 전체와 나사산 부분적으로 적청 발생
4) 6가크롬 처리로 초반에 부식이 천천히 진행되나, 6가크롬 피막이 희생된 이후 부식이 가속화됨
용융아연도금
1) 염수분무 120시간부터 백청 발생됨
2) 염수분무 480시간에 적청 발생됨
3) 염수분무 720시간 경과 후 클램프와 볼트 전체에 백청과 적청 발생
세라믹아연도금
1) 염수분무 120시간에 극소량에 흑청 발생
2) 염수분무 720시간에 흑청 진행, 백청과 적청 발생없음
* 세라믹아연도금의 부식진행은 흑청 → 백청→ 적청 순으로 진행됨
시험 결과, 세라믹아연도금은 전기, 용융아연도금과 내식성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기, 용융아연도금 모두 백청과 적청이 발생 되었지만, 세라믹아연도금은 발생하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라믹아연도금의 충격성과 마모성

- 용융아연도금 : 충격 주변부 표면 결함이 관찰되며, 내굴곡성 시험에서 3.5mm에서 도금 박리 발생
- 세라믹아연도금 : 충격에도 결함이 관찰되지 않으며, 내굴곡성 시험에서 5mm 이상까지 결함이 관찰되지 않음
용융아연도금은 후막(77㎛)으로 굴곡에 의한 조직파괴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나 세라믹아연도금은 얇은 도막(8㎛)에도 표면의 박리와 균열을 최소화합니다.

- 용융아연도금 : 144시간에서 전체적으로 백청, 576시간에서 적청 발생
- 세라믹아연도금 : 576시간에도 이상 없음
세라믹아연도금은 용융아연도금 대비 블라스팅 연마재에 간접 손상에도 우수한 외관 및 높은 내식성능을 나타냅니다.
비계 족장의 부재 클램프와 브라켓 등 건설, 조선의 가혹한 환경에 노출됩니다. 세라믹아연도금은 가혹한 환경의 외부 충격에도 견디며 우수한 외관과 높은 내식성능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탄소저감, 에너지 절감 등 환경친화적인 아연도금 기술입니다.
'기술과 제품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부스바 주석도금, 니켈도금 대체 가능한 세라믹아연도금 (1) | 2025.02.21 |
---|---|
탄소저감형 친환경 로킹로드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 (2) | 2025.01.23 |
툴링 후에도 내식성능이 우수한 Innozinc 볼트 (0) | 2024.05.08 |
내식성, 체결성이 우수한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 파스너 (볼트, 너트) (0) | 2024.05.02 |
가공성이 우수한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 그루브 파이프 (1)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