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EMP 기술과 제품/기술

아연도금 내식성능 비교

 

용융아연도금과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 원형파이프 내식성능 비교

염수분무시험 1080시간 테스트 완료
SST 확대비교

 

■ 실험결과

- 용융아연도금 파이프

1) 염수분무 24시간부터 소량의 흑청과 백청이 발생함.

2) 염수분무 288시간에 일부 적청이 발생하여, 384시간부터 전체적으로 적청 발생한 뒤 지속적으로 적청이 발생함.

- 세라믹아연도금 파이프

1) 염수분무 288시간에 백청이 발생하며, 염수분무 984시간에도 적청 발생없음.

2) 염수분무 1080시간에 일부 적청이 발생하기 시작함.

 

 

HGI와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 각파이프 내식성능 비교

 

염수분무시험 1032시간 테스트 완료
SST 확대비교

■ 실험결과

- HGI 각파이프

1) 염수분무 72시간부터 표면 전체에 흑청과 백청이 발생함.

2) 염수분무 144시간에 일부 적청이 발생하여, 1032시간에 표면 전체에 적녹으로 뒤덮힘.

- 세라믹아연도금 각파이프

1) 염수분무 552시간에 소량의 흑청과 백청이 발생함.

2) 염수분무 1032시간에도 적청 발생 없음.

 

 

용융아연도금과 HGI의 문제점

 

■ 용융아연도금의 문제점

1) 가공이 어려움 : 용접 전 도금층 제거 필수, 구부리거나 휘면 도금층이 갈라짐

2) 작업효율성 낮음 : 버제거, 용접 시 그라인딩 등의 작업효율이 낮음

3) 인건비용 과다 : 버제거, 용접 시 그라인딩 등의 인력 필요, 수동공정으로 인력비용 과다 발생

4) 에너지 비용 과다 : 아연을 녹이기 위해 450℃ 이상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스 사용량 과다

5) 다량의 오염물질 배출 : 24시간 아연을 녹이면서 발생되는 다량의 흄가스와 탄소 배출

■ HGI의 문제점

1) 백청 발생 문제 :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백청으로 인한 클레임 발생

2) 내식성능 문제 : 내식성이 낮아 고내식성능이 필요한 산업에서 사용에 한계가 있음

3) 용접부 내식성능 문제 : 전반적으로 내식성능이 낮으나, 특히 용접부위의 내식성능이 미흡

 

Innozinc의 특징

 

세라믹아연도금 Innozinc는 아래와 같은 특징으로 용융아연도금와 HGI의 문제점 해결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