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TX란? BTX의 위험성
BTX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세 가지 성분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약어입니다.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건강과 환경에 매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학 물질입니다.
아래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듯, 벤젠(벤진) 등의 1급 발암물질은 매우 위험하고,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가져다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BTX Free 친환경 캔스프레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지난 해 우리나라 사망원인통계 결과에서 1위는 바로 암입니다.
조선 등 산업현장에서 페인트 도장 작업 시 1급 발암물질인 벤젠, 자일렌, 톨루엔 등의 유기 용제에 노출된 영향으로 암이 발생한 사례가 계속해서 확인됩니다.
산업현장에서 BTX가 미포함된
친환경 캔스프레이 사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이 들어있는 유해화학물질에 작업자가 노출된 경우에 작업자는 산업재해(산재)처리가 되며, 해당 회사의 대표는 구속영장이 발부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주식회사 켐프의 독자적인 기술인 친환경 캔스프레이 기술을 통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합니다.
주식회사 켐프의 BTX-Free 캔스프레이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등 1급 발암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 으로, 사용자의 건강 환경을 보호하는 데 큰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현존하는 많은 캔스프레이에서 사용되는 유도 물질을 제외하여, 발암 물질로 인한 위험을 유발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1급 발암물질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은 모두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화학물질입니다. 이 화학 물질들은 여러 가지 위험성이 있으며, 백혈병, 신장암(신우암), 간암, 폐암 등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주식회사 켐프의 BTX-Free 캔스프레이는
발암물질이 없어 안전합니다.
켐프의 BTX-Free 캔스프레이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발암물질로 인한 위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어서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우염 등의 산재위험성이 크게 낮아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캔스프레이를 사용하는 회사에서 주식회사 켐프의 제품으로 변경하는 추세입니다.
관련업계 전문가들도 인정하는 주식회사 켐프의 기술력

통계청이 지난 10월 발표한 '2023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서 5대 사망원인은 1위 암(악성신생물), 2위 심장 질환, 3위 폐렴, 4위 뇌혈관 질환, 5위 자살 순이었고, 사망자의 24.2%가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울산에 위치해있는 '4세대 친환경 코팅제 기업' ㈜켐프가 개발한 BTX (에틸벤젠, 톨루엔, 자일렌) 미포함 캔스프레이는 A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의 시공업체 및 유통업체로부터 발주량이 늘고 있다.
그 이유를 알아보니 냉간아연도금 코팅제 및 페인트 스프레이 표면처리 중 용액에 다량 포함된 톨루엔, 크실렌 등으로 인해 현장 작업자가 신우암이 발생한 것이었다. 현재까지 톨루엔, 크실렌 등이 포함되지 않은 냉간아연도금 캔스프레이 터치업 기술은 상용화되지 않아 현재 ㈜켐프의 친환경제품이 기존 자이렌 함유 캔스프레이의 거의 유일한 대안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켐프는 톨루엔, 크실렌이 포함된 에어로졸 형태가 아닌, 에탄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포함된 무기바인더와 판상아연분말을 적용한 고내식 캔스프레이를 개발해 고위험 발암성 물질 함유량을 완전 배제했고, G-SAVE라는 상품명으로 톨루엔, 크실렌의 유해화학용제가 포함되지 않고도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상기 암 환자는 1962년생 여성으로 만 59세가 되던 해인 지난 2022년 5월, 전날부터 지속된 오른쪽 옆구리 통증 및 혈뇨로 지역병원 내원했다. 지역병원 내원 후 증상의 호전이 없어 대학병원으로 전원됐다. 전원 후 시행한 검사에서 신우암으로 진단됐다. 이 환자는 2008년 9월부터 2021년 9월까지 13여년 간 여러 조선소를 돌아다니며 선실 내 페인트 도장작업(터치업)만을 수행했고 실제 근무이력은 약 7년 8개월로 확인됐다. 이력서에도 여러 사업장 도장작업을 한 것으로 명시돼있었다. 이 환자는 한 사업장에서 유조선 내 엔진룸이나 밸라스트 탱크 내부 녹을 제거 후 청소검사 뒤에 부분도장(터치업) 작업을 진행했다. 사업장 제출 자료에 따르면 이 환자는 주간근무를 수행했고 스크래퍼(돼지칼)로 녹 부분을 제거 후 연마지, 보루 등으로 닦아 낸 후 청소검사가 완료되면 그 부분에 부분도장을 실시했다고 한다.
부분도장 시 페인트와 시너를 사용했고 내부에서 집진기와 배기용 팬이 가동됐으며 방독마스크를 착용하게 하고 필터를 수시로 교환토록 한 것으로 기술했다. 다른 조선소 등에서는 휴게시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에 도장업무를 수행했고 도장용 페인트와 각종 경화제 및 시너를 가지고 선박 선실 내부에 진입해 롤러 및 붓 등을 이용해 전체적인 도색업무를 수행했다.
이 환자는 복부 CT 촬영 결과 우측신장 혈관 막힘 소견이 보여 입원 후 항응고제를 처방받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혈뇨가 지속돼 다른 병원으로 전원됐다. 전원 후 시행된 신장 MRI에서 신우암 소견이 확인돼 정밀검사를 위해 또 다른 병원으로 전원됐다. 2022년 8월16일 이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했고, 신우암 및 주변 조직으로 전이가 확인돼 항암치료 중 사망했다.
이 사망자는 신우암 진단 후 실시한 검사에서 고혈압 및 심장 판막 경화가 확인돼 혈압약과 와파린을 복용 중이었다. 사망자의 가족 중 같은 질병 및 암으로 진단 받은 사람은 없다고 진술했다. 여러 조선소 내 선실에서 도장작업(터치업)을 수행하며 페인트, 경화제, 시너 등에 함유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유기용제에 고용노동부 노출기준 미만 수준에서 계속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며, 환기가 잘되지 않는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해 노출수준이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는 이 시망자의 상병인 신우암은 업무관련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상당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로써 ㈜켐프는 용융아연도금 가드레일의 친환경 복원코팅제 개발 경험으로 상온냉간아연도금 캔스프레이 도장작업(터치업)에도 적용에 성공했으며, 본 기술을 통해서 작업자들이 건강하고 안전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기술과 제품 > 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림프성백혈병 발병원인! 벤젠,톨루엔,크실렌 (0) | 2025.02.24 |
---|---|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 벤젠! 벤젠의 위험성 (7) | 2025.01.22 |
발판 녹제거 후 보수 코팅 [ROC.3 + GSAVE + GPLUS] (2) | 2024.06.13 |
금속 표면의 녹, 기름 제거제 ROC.3 (0) | 2024.04.19 |
아연도금 내식성능 강화용 투명 코팅제 GPLUS (1) | 2024.04.19 |